본문 바로가기

Cloud/k8s

(3)
[k8s] Mac M1 UTM Ubuntu22.04 쿠버네티스 구축 Mac M1 UTM을 사용해 k8s를 구축한다.각 VM은 Ubuntu22.04LTS 이미지를 기반으로 한다.마스터노드*1, 워커노드*2로 클러스터를 구성한다.각 노드에 쿠버네티스를 설치하고 워커노드를 마스터노드에 연결한다. k8s 설치 전 노드 환경 구성#마스터노드- Memory: 4096MB- CPU Cores: 4- Disk Size: 24GB- Address: 192.168.56.30#워커노드- Memory: 2048MB- CPU Cores: 2- Disk Size: 24GB- Address: 192.168.56.31- Memory: 2048MB- CPU Cores: 2- Disk Size: 24GB- Address: 192.168.56.32 네트워크 설정값설치 시 기본으로 설정되어있는 dhcp에서..
[k8s] ConfigMap, Secret으로 DB 서버 접속 간단 개념이번에는 ConfigMap, Secret 이 두 가지 오브젝트를 다뤄보겠습니다.개발을 하다보면 상황에 따라 IP 주소나 key 값과 같은 설정 값을 바꿔야 할 때가 있습니다. 여러가지 테스트를 하며 바꿀 수도 있고, 또 개발 환경과 배포 환경을 분리하기 위해 값을 바꿔줄 수도 있는데 각 상황에 맞게 이미지를 따로 두어 관리하기에는 용량의 부담도 있고 번거로우므로! ConfigMap과 Secret을 사용하여 상황에 맞게 환경 변수를 관리합니다. 💡 일반 상수를 담은 ConfigMap과, 키를 담은 Secret을 만들고 Pod 생성 시 이 두 오브젝트들을 연결하면 Container의 환경변수에 이 데이터가 반영됩니다. 마치 개발 시 사용하곤 했던 .env 파일과 비슷하죠? 실습ConfigMap과 ..
[k8s] Pod 생성 및 볼륨 설정 Pod를 생성해보겠습니다.제가 생성하려는 pod는 두 개의 컨테이너를 담고있으며, volume을 서로 공유하는데요. 여기서 1) emptyDir 방식으로 공유하는 버전과 2) hostPath를 공유하는 버전 이렇게 두 가지로 생성해보겠습니다.각 컨테이너의 이미지로 nginx와 busybox를 사용했습니다. 버전 1은 대시보드로, 버전 2는 cli로 해볼게요! 1️⃣ emptyDir로 파일을 공유하는 Pod 생성Pod 내부에 생성되고, 최초 생성 시 항상 볼륨이 비어있기 때문에 emptyDir이라고 불립니다. Pod가 재생성되면 데이터가 전부 사라져요.동일한 디렉토리에 대해 컨테이너별로 서로 다른 이름으로 마운트할 수 있습니다.하지만 결국 동일한 디렉토리를 가리키고 있습니다. apiVersion: v1ki..